칭찬 멘트 – 아이에게 이렇게 하면 절대 안 돼요

칭찬 멘트. 아주 중요한 사실을 알려드릴게요.
아이에게 이렇게 칭찬하면 절대 안 됩니다.

대부분의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습니다.
칭찬도 알고 해야 합니다.
모르고 하는 칭찬은 아이들 행복을 뺏을 수 있습니다. 과장이 아닙니다.

저는 정신과 의사인 정형주 전문의가 쓴
‘어린 완벽주의자들’이란 책을 보고 처음 알게 됐는데요.

아주 충격이 컸습니다.
꼭 알아두셔야 합니다.

칭찬 멘트 - 이렇게 하면 절대 안 돼요

잘못된 칭찬 멘트 : “잘했다”,”열심히 했구나”

요즘 사람들은 칭찬의 중요성은 대부분 잘 알고 있습니다.
하지만 대부분 그 방법을 잘못 알고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.

“열심히 했다”는 칭찬이,
그러니까 결과보다는 과정을 칭찬하는 게
좋은 칭찬법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죠.

하지만 여기에 심각한 부작용이 있습니다.

대부분은 이런 칭찬의 문제점을 인식조차 못 하고 있습니다.


“열심히 했구나”.. 과정 칭찬법이 나온 이유

잘 알려진 실험이 있습니다.
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캐럴 드웩 교수의 칭찬 실험인데요.

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아주 쉬운 문제만 있는 시험을 풀게 한 뒤에 칭찬을 했습니다.
예상대로 학생들이 다 잘 풀었습니다.

A 그룹에는 “너 참 똑똑하구나”라고 칭찬을 했고요.
B 그룹에는 “너 참 열심히 했구나” 라고 칭찬을 했습니다.

그리고 바로 두 번째 시험을 보게 합니다.

이번에는 어려운 시험지와 쉬운 시험지가 있다고 학생들에게 알려주고
둘 중에 하나를 직접 고르라고 했습니다

그랬더니 똑똑하다고 칭찬 받은 A 그룹 아이들은 대부분 쉬운 시험지를 택했고,
열심히 했다고 칭찬 받은 B 그룹 아이들은 90%가 어려운 시험지를 골랐습니다.

칭찬 멘트 - 아이에게 이렇게 하면 절대 안 돼요
– 캐럴 드웩 교수 과정 칭찬 실험 –

똑똑하다고 칭찬 받은 학생들은 또 칭찬을 받으려고
쉬운 문제를 택했고
열심히 했다고 칭찬 받은 학생들은
겁먹지 않고 어려운 문제에 도전한 겁니다.

이 실험 결과가 알려지면서
그래 칭찬 방법이 중요하지
잘했다고 칭찬하지 말고
열심히 했다고 칭찬하는 게 좋은 거구나.
그래야 도전 정신도 생기고 그래야 발전 가능성도 많아.

이렇게 결론을 내는 분들이 많았습니다.
이 실험 결과가 알려지면서 실제로 많은 부모들이 이렇게 칭찬을 하고 있습니다

지금까지 가장 좋은 칭찬 방법으로 알려져 있죠.

잘못된 칭찬 멘트, 완벽주의자를 만든다


하지만 이게 잘못된 칭찬법이라고 합니다.

정신과 의사가 쓴 ‘어린 완벽주의자들’이라는 책에
그 이유가 자세히 나옵니다.

“열심히 했구나”라고 칭찬 받으면서 자란 아이들은 어떻게 될까요.

열심히 하는 건 선이고 열심히 하지 않는 건
불성실 또는 죄악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큽니다.
그래서 더 열심히 살 겁니다.

흡족한 부모들은 또 열심히 했다고 칭찬을 하겠죠.
그럼 아이들은 더 열심히 노력하게 됩니다.

노력한 만큼 좋은 결실을 거뒀다면 정말 다행입니다.
하지만 그 결과는 노력 덕분이라고 생각하고 또 계속 노력하겠죠.

반대로 결과가 좋지 못 하면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겁니다.
그래서 더 노력합니다.

잘 돼도 노력하고, 안 돼도 노력합니다.

칭찬 멘트 - 잘못하면 완벽주의자 만든다
– 과정 칭찬 부작용 –

진짜 노력한다고 다 되나요?

하지만 이 세상 일이라는 게 노력한다고 다 되지 않죠.

어떤 학생이 야구를 아주 좋아해서 열심히 한다고
다 류현진 선수처럼 될 수 있을까요?

노력을 안 하는 사람보다는 잘 할 수 있겠지만
모든 사람이 다 류현진이나 일론 머스크, 스티브잡스처럼 되는 건 아닙니다.
노력한다고 성공하는 건 극히 일부 특출난 사람들의 얘기고요.

대부분은 그렇지 못합니다.

어떤 분야 건 1등은 한 명 뿐이고 타고난 능력과 환경도 다 다릅니다

운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노력한다고 다 되는 건 아닐 겁니다.

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칭찬을 받고 자란 사람들은 노력 중독에 빠지게 됩니다
되지도 않을 일에 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더 노력을 하겠죠

그러다가 성과가 안 나오면 좌절합니다.
특히나 이런 사람들은 실패에 대한 내성이 없습니다

작은 실패도 견디지 못 합니다.
성적이 조금만 떨어져도, 누군가가 나를 조금만 싫어해도
존재 자체를 부정 당한 사람처럼 몸부림친다고 합니다

그러면서 실패의 원인을 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더 노력하게 되는 겁니다.

S본부 영재 발굴단..영재들이 우는 이유는?


s 본부에서 영재 아동들이 나오는 tv 프로그램 있었잖아요.
그 프로그램을 보면 진짜 천재적인 아이들도 간혹 있지만

상당수는 노력으로 이루어낸 아이들이었습니다.
엄마 아빠와 다른 사람들의 칭찬을 들으면서 더 잘 하려고 애쓰고

그러다 보니까 더 뛰어나게 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.
그런데 마지막에 반전이 일어납니다.

자신감 넘치고 대단해 보였던 아이들이
정신과 의사 앞에서 힘들다고 우는 겁니다.

이런 아이들이 꽤 많았죠 칭찬 때문에 또는 부모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
위해서 노력하고 공부하고 애쓰지만 그게 스트레스였던 겁니다.

아이들이 내색하지 않아서 잘 몰랐지만 이 아이들은
대부분 노력 중독이었고 행복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습니다.

“엄마를 기쁘게 해드리려고요”.. 아이의 행복은?

그렇게 힘든데 왜 그렇게 열심히 하는 이유를 물으면 대부분
‘엄마 아빠를 기쁘게 해드리려고요’ 이렇게 말합니다.

‘우리 아이는 열심히 한다’..부모의 이 칭찬 때문에
아이들이 노력 중독에 빠지는 겁니다.

내가 좋아하는 게 아니라 엄마 아빠가 좋아하기 때문에,
또는 엄마 아빠를 기쁘게 하기 위해서
그 일을 한다면 과연 이 아이는 행복할 수 있을까요?

“열심히 했구나” 칭찬은 아이를 노력 중독에 빠지게 할 수 있습니다.

노력 중독은 완벽주의자들의 특징입니다.

칭찬 멘트 - 과정 칭찬은 하지마세요
– 과정 칭찬은 완벽주의자 만드는 칭찬법 –

‘결과 칭찬’도 안 된다. ‘과정 칭찬’도 안 된다.
그럼 어떻게 칭찬해야할까요?

‘어린 완벽주의자들’ 책에는 기가막힌 칭찬법이 나옵니다.

아래 빨간 버튼을 눌러서 기막힌 칭찬법 확인해보세요.

↓↓↓ 여기를 먼저 보고 오세요 ↓↓↓

완벽주의자 특징 10가지가 궁금하시면
아래 빨간 버튼을 눌러 보세요.

완벽주의자가 행복하기 힘든 이유도 나옵니다.

↓↓↓ 여기를 먼저 보고 오세요 ↓↓↓

이 글의 출처는 모두 정신과 의사가 쓴
‘어린 완벽주의자들’이란 책입니다.

현대인의 필독서라고 생각해요.

본인을 위해,
내 자식의 행복을 위해
꼭 읽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.

[지식프레임]  어린 완벽주의자들

이 글은 애드픽이 추천한 제품의 이용후기가 포함되었으며, 작성자에게 수수료가 지급됩니다.

Leave a Comment